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

[SQLD] SQL기본_TCL/WHERE절 TCL(트랜잭션 제어어)COMMIT, ROLLBACK, SAVEPOINTDML에 의해 조작된 결과를 작업단위(트랜잭션) 별로 제어하는 명령어- 효과 데이터 무결성 보장영구적인 변경을 하기 전 데이터 변경사항 확인 가능논리적 연관된 작업 그룹핑하여 처리 가능(Default) ORACLE - Not Auto Commit / SQL Server - Auto CommitDDL 명령어CREATE, ALTER, RENAME, DROP직접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DL 명령어를 입력하는 순간 명령어에 해당하는 작업이 즉시(Auto Commit) 완료된다.DML 명령어INSERT, UPDATE, DELETE, SELECT조작하려는 테이블을 메모리 버퍼에 올려놓고 작업을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테이.. 2017. 11. 20.
[SQLD] SQL기본_DDL /* 선수 정보 */CREATE TABLE PLAYER ( PLAYER_ID CHAR (7) NOT NULL , PLAYER_NAME VARCHAR2 (20) NOT NULL , TEAM_ID CHAR (3) NOT NULL , BIRTH_DATE DATE , WEIGHT NUMBER (3) , CONSTRAINT PLAYER_ID_PK PRIMARY KEY (PLAYER_ID) , CONSTRAINT PLAYER_ID_FK FOREIGN KEY (TEAM_ID) REFERENCES TEAM (TEAM_ID) );/* 팀 정보 */CREATE TABLE TEAM ( TEAM_ID CHAR (3) NOT NULL , REGION_NAME VARC.. 2017. 11. 20.
[SQLD] 엔티티 [ 엔티티 ]   엔티티명사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 엔티티 특징1.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2. 식별이 가능해야 함3. 인스턴스의 집합4. 업무프로세스에 의해 사용5. 속성을 포함6. 관계의 존재 엔티티의 분류1. 유무형에 따른 분류- 유형엔티티물리적인 형태가 있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티티로 업무로부터 엔티티를 구분하기 가장 용이- 개념엔티티물리적인 형태가 존재하지 않고 관리해야할 개념적 정보로 구분이 되는 엔티티- 사건엔티티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엔티티 2.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기본엔티티그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로서 다른 엔티티와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 가능, 타 엔티티의 부모 역할- 중심엔티티기본엔티티로부터 발생.. 2017. 10. 20.
ORACLE → MSSQL 쿼리 변환 1. NULL값 치환 NVL → ISNULL2. 문자열 연결 || → +3. 차집합 MINUS → EXCEPT4. 교집합 INTERSECT → NOT EXIST5. 조건표현식 DECODE → CASE ~ WHEN ~ THEN6. 문자열 길이 LENGTH → LEN7. 문자열 자르기 SUB → SUBSTRING8. 나눗셈 MOD(M, N) → M % N9. 올림 CEIL → CEILING10. 버림 TRUNC(M, N) → ROUND(M, N, 1)11. 프로시저 실행 BEGIN → EXCEPT12. 숫자나 날짜를 문자열로 변환 TO_CHAR → CONVERT13. 현재 날짜, 시간 SYSDATE → GETDATE14. 조인 (+) → OUTER JOIN15. 공백제거 TRIM(STR) → LTRIM(RT.. 2017. 10. 18.
[SQLD]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모델의 세가지 관점1. 데이터 관점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델링하는 방법(what, data)2. 프로세스 관점업무가 실제 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모델링하는 방법(how, process)3.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모델링하는 방법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1. 파급효과2. 복잡한 정보 요구사항의 간결한 표현3. 데이터 품질데이터 모델링의 유의점1. 중복(Duplication)2. 비유연성(Inflexibility) : 데이터의 정의를 데이터의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해야함3. 비일관성(Inconsistency) : 데이터와 데이터 .. 2017. 6. 16.
[스프링/Spring]AOP 개념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기능을 핵심 비지니스 로직과 공통 모듈로 구분하고, 핵심 로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이사이에 공통 모듈을 효과적으로 잘 끼워넣도록 하는 개발 방법이다. 공통모듈(트랜잭션/로그/보안/인증 처리 등)을 만든 후에 코드 밖에서 이 모듈을 비지니스 로직에 삽입하는 것이 바로 AOP 적인 개발이다. 코드 밖에서 설정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자체적인 언어라기보다는 기존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언어를 보완하는 확장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자바에서 사용되는 AOP도구 중 대표적인 것으로 AspectJ, JBossAOP, SpringAOP가 존재한다.  AOP가 사용되는 경우1. 간단한 .. 2017. 6. 10.